2025/07/03 3

피부색은 시민권으로 바뀌지 않는다: 미국 이민 단속의 현실과 우리의 정체성

최근 미국의 불법 이민자 색출 및 추방 정책을 보면서 많은 분이 저와 비슷한 의문을 품으셨을 겁니다. '과연 인권을 존중한다는 선진국 미국이 맞을까?' 후진국에서나 볼 법한 완력을 휘두르며 피부색에 따라 무작정 잡아 가두는 모습은 충격적이기까지 합니다. 이는 미국에서 시민권을 얻었거나 심지어 미국에서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피부색은 결코 변하지 않는다는 뼈아픈 현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합니다. 저 또한 한동안 미국에서 생활하며 암묵적인 피부색에 따른 차별을 직접 느끼곤 했죠. 오늘은 이처럼 논란이 되고 있는 미국의 이민 정책과 피부색, 그리고 우리의 정체성에 대한 이야기를 다뤄보고자 합니다. 피부색과 시민권, 그리고 풀리지 않는 숙제미국은 오랜 시간 '기회의 땅'으로 불려왔습니다. 이곳에서 태어나거나 정..

카테고리 없음 2025.07.03

인간 의사 능가한 마이크로소프트의 의료 AI의 진단 정확도, 과연 의사를 대체할 수 있을까?

마이크로소프트사의 MAI-DxO 연구 결과는 의료 AI의 놀라운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AI가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될 수 있을지, 과연 의사를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아직 물음표가 남습니다. AI,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 가능할까?MAI-DxO는 복잡한 의료 사례 진단에서 인간 의사를 훨씬 뛰어넘는 **85.5%**의 정확도를 보였어요. 이는 분명 대단한 성과죠. 하지만 이 연구는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 진행됐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해요. 실제 병원 환경은 훨씬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변수들로 가득합니다. 넘어야 할 현실의 벽:데이터의 품질과 다양성: AI는 학습한 데이터만큼 똑똑해요. 실제 환자 정보는 훨씬 방대하고, 정형화되지 않은 데다, 데이터의 품질도 제각각이죠. 다양한 인종, 연령,..

카테고리 없음 2025.07.03

스마트폰이 만든 불안한 현대사회

혹시 이런 장면, 낯설지 않으신가요? 전철이나 버스를 타면 대부분의 사람이 고개를 숙이고 스마트폰만 들여다봅니다. 길거리를 걷는 청소년이나 젊은 사람들도 시선은 온통 화면에 고정되어 있죠. 심지어 아이들까지도 잠자리에 들기 전까지 침대맡에 스마트폰을 두고 수시로 들여다보다 잠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잠시라도 스마트폰이 손에서 떨어지면 불안감을 느끼고, 한시도 스마트폰을 떠나지 못하는 현대인의 모습은 마치 병적인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실제로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이 지하철에서 모두가 스마트폰만 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왜 한국인은 모두 스마트폰만 들여다보고 있느냐"고 의아해했다는 이야기는, 우리가 얼마나 스마트폰에 깊이 몰입해 있는지를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스마트폰은 우리 삶의 필수품을 넘어, 이제는 ..

카테고리 없음 2025.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