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 올여름 바다 가실 계획 있으신가요? 혹시 바다에서 해파리 만날까 봐 걱정되진 않으신가요? 2025년 여름, 기후변화의 심각한 경고등처럼 해파리떼가 전 세계 바다를 뒤덮고 있습니다. 한국도 예외는 아닌데요. 해수부는 지난 6월 9일, 해파리 대량 발생 위기경보를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격상했다고 발표했어요. 동해와 남해를 중심으로 독성이 강한 노무라입깃해파리와 보름달해파리가 엄청나게 늘어났다는 소식입니다.
이 모든 것의 주범은 바로 지구온난화! 바닷물 온도가 오르고 해양 생태계가 뒤죽박죽되면서 해파리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된 거죠. 해파리떼의 습격은 단순히 바다를 지저분하게 만드는 것을 넘어, 우리 어업인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피서객들의 안전까지 심각하게 위협하며 큰 경제적,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오늘은 왜 이렇게 해파리가 많아지는지, 어떤 피해를 주고 있는지, 그리고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알아볼게요.
점점 더 뜨거워지는 바다, 해파리들의 '천국'이 되다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고 해양 환경이 변하면서 해파리들이 그야말로 '떼로' 번식하고 있습니다. 2015년 수산해양교육연구 논문에 따르면, 바닷물 온도가 높아지면 해파리가 번식하고 생존하는 데 최적의 조건이 된다고 해요. 2025년 동해와 남해의 평균 해수면 온도는 과거보다 훨씬 빠르게 상승해서 일부 지역에서는 1~2도나 높아졌다고 하니, 해파리들이 살기 좋은 환경이 된 건 당연한 일이죠. 특히 노무라입깃해파리처럼 몸집이 큰 해파리들은 더 빨리 번식하게 됩니다.
게다가 기후변화로 식물성 플랑크톤이 줄어들면서, 해파리의 천적인 물고기들(고등어, 정어리 등)이 먹이를 구하기 어려워졌어요. 어류들이 줄어드니 해파리를 잡아먹을 포식자가 사라져 해파리 개체 수가 더 늘어나는 악순환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PNAS라는 저널에서도 기후변화 때문에 해파리떼 출몰이 점점 더 자주 발생한다고 보고했으니, 해파리떼는 그저 귀찮은 존재가 아니라 기후변화가 보내는 심각한 경고인 셈이죠. X(옛 트위터)에서도 어부들이 그물에 "몇 톤"의 해파리가 걸려 피해를 보고 있다고 하소연하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답니다.
어업인들 울상, 바닷가 피서객들 '벌벌' 떠는 이유
해파리떼는 바다를 생계 터전으로 삼는 어업인들에게는 그야말로 **'직격탄'**입니다. 해파리떼가 그물망을 꽉 막아버리니 고등어, 정어리 같은 중요한 물고기들을 제대로 잡을 수가 없어요. 2024년 동해안 고성, 속초 지역 어부들은 해파리 때문에 어획량이 30~40%나 줄었다고 합니다. 그물에 해파리가 잔뜩 걸리면서 그물이 손상되는 비용만 연간 1억 원이 넘게 든다고 하니, 어업인들의 시름이 깊을 수밖에요. 2025년 남해 어부들은 노무라입깃해파리 때문에 멸치 어획량이 50%나 줄어 생계가 막막하다고 호소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해파리의 독 때문에 어부들이 피부 염증이나 알레르기를 겪는 일도 빈번해서, 2024년 제주도에서는 어부 10여 명이 해파리에 쏘여 병원 치료를 받기도 했습니다.
피서객들도 안전을 위협받고 있습니다. 독성이 강한 보름달해파리나 노무라입깃해파리는 피부에 닿으면 화상처럼 따갑고, 심하면 호흡 곤란이나 쇼크까지 유발할 수 있어요. 2025년 6월에는 부산 해운대에서 15건, 제주 중문해변에서 20건의 해파리 쏘임 사고가 보고될 정도로 심각합니다. KBS뉴스에서는 해파리 주의보로 피서객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며 해파리 신고 웹사이트를 안내할 정도였죠. 이런 상황이니 사람들이 바다를 찾지 않게 되고, 강릉, 양양, 삼척 같은 주요 해수욕장 방문객이 2024년 대비 20%나 감소했다고 합니다. 결국 해수욕장 근처 식당이나 숙박업소 매출까지 15~25% 줄어들면서 지역 경제 전체가 휘청이고 있어요.
해파리 습격, 어떻게 막아야 할까?
이런 심각한 해파리 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와 어업인, 그리고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합니다.
정부에서는 해파리 방제 작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그물망을 설치하고 해파리 제거선을 투입하는 것은 물론, 2025년에는 200억 원의 예산을 들여 어업인 지원과 해파리 모니터링을 확대했습니다. 해수부에서는 해파리를 발견하면 바로 신고할 수 있는 웹사이트(https://jellyfish-report.kr)도 운영하고 있으니, 혹시 바다에서 해파리를 발견하면 꼭 신고해주세요!
어업인들도 발 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해파리 방지망(아주 촘촘한 그물)을 설치하고, 드론을 띄워 해파리떼의 움직임을 미리 감시하는 시스템까지 도입하고 있다고 해요. 2024년 부산 어민들은 이런 방지망 덕분에 피해를 20%나 줄였다고 하니, 정말 대단하죠?
해수욕장에서도 피서객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파리 경보 표지판을 세우고, 쏘였을 때 바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키트를 곳곳에 배치하고 있습니다. 강릉시에서는 해파리 제거 작업에 하루 5천만 원을 투입할 정도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고요.
하지만 이런 노력들은 단기적인 대응책일 뿐입니다. 근본적인 해결책은 바로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것!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에서도 온실가스를 줄여 바닷물 온도 상승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한국도 2020년에 탄소중립 목표를 세우고 노력하고 있지만, 앞으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결론: 해파리떼는 '기후위기의 경고'다!
기후변화로 인해 바닷물 온도가 오르고 해양 생태계가 교란되면서 해파리떼 출몰이 점점 심해지고 있습니다. 2025년 동해와 남해의 해파리 주의보는 어획량 감소와 관광객 감소, 그리고 지역 경제 타격이라는 심각한 현실을 보여주고 있죠.
정부와 어업인, 그리고 지자체가 함께 노력하며 해파리를 잡고 피해를 줄이려 하지만, 이것은 일시적인 처방일 뿐입니다. 해파리떼는 단순한 자연현상이 아니라, 우리에게 기후위기가 얼마나 심각한지 알려주는 경고나 다름없습니다.
바다를 지키고, 어업인들의 생계를 보호하고, 우리 모두가 안전하게 여름 바다를 즐기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 온실가스 감축과 해양 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을 더해야 합니다. 행동하지 않으면, 어업인과 피서객의 여름은 점점 더 위험하고 불행해질 것입니다. 우리 모두의 바다를 위해 함께 노력할 때입니다!